자바스크립트로 HTML요소에 접근하는 법 웹사이트를 하나 생성하여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html의 요소값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크게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요소를 가져올 수 있는 대표적으로 방법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getElementById() : id값에 해당하는 요소 한 개를 가져옵니다. getElementsByClassName() :클래스 이름으로 값을 가져오고 중복된 클래스가 있을 경우 배열 형태로 보여줍니다. getElementsByTagName():tag 태그 이름으로 가져오고 중복 요소가 있으면 배열 형태로 보여줍니다. getElementById() HTML body 태그 안에 새로운 p태그를 넣어줍니다. 그리고 현재의 웹사이트를 확인해 보면 p태그에서 설정한 텍스트가 출력됩니다. cons..
파이썬에서의 자료형을 확인할 때 type()을 사용하듯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typeof()을 사용하여 현재의 자료형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하기위해 사용하거나 if 문이나 switch 문 등의 조건문에서 변수의 자료형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해야 할 때 typeof를 사용하여 자료형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자료형에 따른 분기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변수의 자료형 확인하기typeof 연산자는 변수나 값의 자료형을 문자열 형태로 반환합니다.let num = 10; let str = "Hello"; let arr = [1, 2, 3]; let obj = { name: "John", age: 25 }; let func = function () { console.l..
자바스크립트는 변수를 선언할 때 var, const, let 세 가지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이 세 가지 변수 타입은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변수의 특징을 이해하고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하는지 잘 파악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변수 타입인 const와 let, 그리고 var에 대해 알아보고, 적절한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const와 let의 차이점 자바스크립트에서 const와 let은 변수를 선언하는 데 사용됩니다. const는 변하지 않는 값을 할당할 때 사용됩니다. 한번 값을 할당하면 다른 값을 재할당할 수 없기 때문에, 변수의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