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해피밀매달 새로운 콜라보 상품을 보여주는 맥도날드 해피밀이 이번 4월에는 조금더 특별한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3에는 쥬라기월드 와의 콜라보로 맥도날드와 쥬라기 월드 팬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던 맥도날드가, 이번에는 마인크래프트와 콜라보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달의 해피밀 - 마인크래프트 무비이번 마인크래프트 무비 해피밀은 총 10가지의 카트 해피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종의 마인크래프트에 나오는 캐릭터 피규어들이 해피밀 상품으로 출시되며 전세계적으로 한번쯤 플레이 경험이 있는 마인크래프트는 이번에 굉장한 인기를 누릴거 같습니다. 또한 이번 극장에서 개봉되는 마인크래프트 더 무비를 관람전 해피밀 상품으로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거 같습니다. 1~5종은 현재 바로 구입할 수 있으며, 6~10종..
클라우드 서버의 인스턴스를 이용하다보면 ssh로 연결하여 사용을 하게되는데 ssh에 연결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고 창을 닫게되면 세션이 닫혀서 해당 작업이 종료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screen을 활용하여 세션을 종료해도 서버가 계속 실행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creen 명령어를 왜 사용해야할까?SSH를 통해 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예: React, Spring Boot 등)을 실행하면, SSH 세션이 끊어지는 순간 실행 중이던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됩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백그라운드에서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screen 명령어가 빛을 발합니다. screen은 가상 터미널을 생성해 세션을 관리하며, SSH 연결이 끊겨도 애플리케이션이..
React로 프론트엔드를 개발하고, Spring Boot로 백엔드를 구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면, 두 프레임워크를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고민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 글에서는 React의 빌드 결과를 Spring Boot의 static 폴더에 넣고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왜 React와 Spring Boot를 통합해야할까?React는 강력한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이고, Spring Boot는 안정적인 백엔드 프레임워크입니다. 두 개를 별도로 실행하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 CORS 문제나 배포 복잡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eact 빌드 파일을 Spring Boot의 static 폴더에 통합하면 단일 JAR 파일로 배포가 가능해지고, 운영과 관리가..
최근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Supabase의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던 중, 프로그램 실행 시 위와 같은 Caused by: org.postgresql.util.PSQLException: FATAL: Max client connections reached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문제 원인Supabase는 PostgreSQL을 기반으로 한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으로, 내부적으로 Supavisor라는 연결 풀러(Connection Pooler)를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간 연결을 관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결 풀 설정이 적절하지 않으면 "Max client connections reached"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아보니까 Supabase의 무료 플랜(Micro Size..
맥도날드 해피밀매달 새로운 콜라보 상품을 보여주는 맥도날드 해피밀이 이번 3월에도 특별한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톰과제리와의 콜라보로 맥도날드와 톰과제리 팬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던 맥도날드가, 이번에는 쥬라기월드와 콜라보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달의 해피밀 - 쥬라기 월드이번 쥬라기월드 해피밀은 총 10가지의 카트 해피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종의 쥬라기 월드 공룡들이 해피밀 상품으로 출시되어 어린이들과 쥬라기 월드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해피밀은 영화속 상징적인 공룡들을 재현한 디테일한 디자인으로, 아이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팬들에게는 소장 가치를 더할 특별한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 1~5종은 현재 바로 구입할 수 있으며, 6~10종은 ..
오늘은 최근 미국에서 화제가 된 사건 하나를 가져왔습니다. 바로 2025년 2월 24일,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 본부에서 벌어진 해킹 사건인데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의 발을 키스하는 AI로 만든 영상이 건물 안 TV에 나타난 일입니다. 상상만 해도 좀 웃기지만, 이 사건은 단순히 웃고 넘어갈 일은 아닙니다. 해킹, AI, 그리고 정부 시스템 보안까지 얽힌 이야기라서 같이 파헤쳐보겠습니다. HUD 본부가 해킹된 날At the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this morning. pic.twitter.com/RPJKqTZS5E— Anthony LaMesa (@ajlamesa) February 24, 20252025년 2월 24일, H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