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을 사용하다 보면, 현재 로컬 컴퓨터의 git에서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협업 환경에서user.name과user.email은 커밋 기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계정과 혼동하지 않고 정확한 계정의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에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git전체 설정 확인하기git config --list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의 모든 설정 값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됩니다. 이 중에서user.name과user.email을 찾아보면 현재 설정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er.name=아이디user.email=이메일출력 결과에 위와 같은 항목에서 아이디와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
깃허브 데스크탑(GitHub Desktop)에서 변경사항 'push'하려고 할 때 'Newer commits on remot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오류는 브랜치 설정 문제로 발생하며 브랜치를 설정해 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깃허브 데스크탑의 상단 메뉴 'Repository' - 'Open in Command Prompt'를 클릭하여 명령프롬포트를 실행합니다. 현재 프로젝트의 깃허브 페이지에 방문하여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default 브랜치명을 확인합니다. (예 : main) 실행된 명령프롬포트에 아래 명령을 입력하고 사진처럼 'set up to track'라는 문구가 나오면 창을 닫습니다.git branch -u /origin/기본 브랜치 이름 깃허브 데스크탑으로 돌아와 'R..
깃허브 커밋 로그깃허브(Github)에 실수로 업로드된 파일이나 이전에 업로드된 내용 중 공개되면 안되는 파일을 커밋(commit)하여 깃허브에 history 기록이 있을 경우에는 저장소를 삭제하고 새로운 저장소에 다시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존의 저장소를 유지하면서 commit 기록을 삭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이미지 출처1,출처2,출처3,출처4)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기존에 main브랜치에서 사용되었다면 새로운 temp_branch를 생성하고 기존의 파일을 복사합니다.이후에 기존에 있던 main 브랜치는 삭제한 뒤(commit기록을 포함) 원본 저장소의 파일을 복사한 temp_branch를 commit 합니다.그리고 업로드된 브랜치이름을 다시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