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폴더에 임시파일들을 받아두면 인터넷을 접속할때 데이터를 또 받을필요없이 조금더 빠른 접근이 가능합니다temp폴더에는 압축파일의 임시 데이터나 각종 임시 데이터들이 저장됩니다.temp폴더에 저장되는 임시 파일을 삭제하면 하드 디스크에 많은 공간을 절약 할수 있습니다또 매일 pc를 끄고 다시 시작하면 자동으로 임시파일들을 안전하게 삭제할수 있습니다물론 매번 TEMP폴더의 찌꺼기들을 수동으로 삭제할수있지만 귀찮기 때문에컴퓨터가 켜질때마다 자동으로 TEMP폴더를 삭제시켜주는 BAT파일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최적화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되지만 이것저것 프로그램을 설치하기싫고 최적화 프로그램마저도 저사양 PC에선 무겁고 매번 관리하는것도 귀찮은경우가 있습니다아래 과정이 귀찮으신 분들은 제일 하단에 첨부한 변환..
내부 IP, 사설 IP, 공인 IP 및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Twin IP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내부 IP와 사설 IP 내부 IP와 사설 IP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내부 IP는 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각 기기의 IP 주소를 의미하며, 사설 IP는 인터넷 상에서 비공개적인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내부 IP는 일반적으로 192.168.x.x, 10.x.x.x 또는 172.16.x.x ~ 172.31.x.x와 같은 사설 IP 대역에 속합니다. 내부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공개되지 않으며,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됩니다. 사설 IP는 내부 IP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서 제공하는 공인 IP 주소 대역과 구별하..
썸네일 이미지파일 경로디지털 포렌식에서도 알고 있으면 좋은 사용자의 이미지 캐시파일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웹서핑이나 윈도우의 사진 및 동영상을 열람할 때 파일의 미리 보기 이미지 썸네일을 통해 어떤 파일인지 쉽게파악하고 더 빠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한 썸네일 이미지들은 thumbs.db형태로 pc에 저장하게 됩니다.원본 이미지 등의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썸네일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thumbs.db형태에 저장되게 됩니다. %UserProfile%\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위의 경로에서 썸네일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위 경로에서 Local 폴더아래에 Microsoft 폴더가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숨긴 폴더를..
ssh 서버 접속 시 오류발생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a host key has just been changed. The fingerprint for..
이번 단계는 레벨 5에서 레벨 6으로 넘어가는 과정입니다 이전 게시물을 못봤다면 반드시 이전단계의 패스워드를 알아야 넘어갈 수 있으니 순서대로 따라와 주세요. 필자는 root계정에서 명령을 입력합니다 만약 root계정이 아니라 오류 나는 경우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주세요. 이번단계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OverTheWire 사이트로 접속해 주세요.사용자권한 bendit7, 그룹권한 bandit6, 33bytes의 크기문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레벨로 가기 위한 패스워드가 서버의 어딘가에 숨겨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속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ssh -p 2220 bandit6@bandit.labs.overthewire.org그럼 이제 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bandit서버에 접속해 보겠..
Permission denied 파일 find / -size 33c -name readme find 명령을 사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으려고 할 때 Permission denied 권한이 없는 파일들도 함께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두 개면 상관이 없지만 찾고자 하는 디렉터리 범위가 넓으면 넓을수록 Permission denied 파일들도 많이 출력되기 때문에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때에는 2> /dev/null를 붙여주어 사용하면 됩니다. stderr를 터미널 화면에 바로 출력하지 않고 null device로 출력하도록 redirection 하여 대상 데이터를 버립니다. 에러 제거 find / -size 33c -name readme 2> /dev/null 수정된 코드로 다시 한번 find 명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