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치 코리아 서비스 종료?
인터넷 방송 플랫폼 트위치가 2023년 12월 6일 대한민국에서 사업을 철수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하여 각종 커뮤니티와 트게더 사이에서 화두를 모으고 있습니다.
12월 6일 한국에서 마지막 트위치 CEO와 대화 영상
서비스 종료 일자 및 대체 플랫폼
2023년 12월 6일 트위치 코리아 트위터에 올라온글에 따르면 24년 2월 27일부로 한국 내의 트위치 서비스 운영이 종료된다고 합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트위치 블로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트위치가 철수를 결정하기까지 꽤 고민이 컸을 거 같습니다. 처음에는 다시 보기 삭제부터 국내 트위치 화질 제한 등 국내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 10배나 더 높은 한국의 네트워크 수수료 인해 더 이상 서비스를 하기 어렵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한국 내 사용자를 위한 트위치 운영종료 관련 가이드내용으로 2월 27일자 부터 트위치를 통해서 국내 스트리머들은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게됩니다. 즉 기존 스트리머들은 수익활동이 전면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트위치에서 방송을하던 한국 스트리머들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많은 이적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위치 대체 인터넷 방송 플랫폼
트위치가 국내서비스를 종료함에따라서 트수들과 스트리머들의 방송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려면 대안 플랫폼에 관해서 생각해봐야 합니다.
아프리카 TV(afreecaTV)
인터넷방송의 경력이 있다면 모를 수가 없는 플랫폼인 아프리카티비가 있습니다.
이미 국내에서는 꽤 오랫동안 자리를 잡아온 기업이고 최근 트위치의 화질제한사태 때도 많은 버튜버들이나 스트리머들이 이적을 했었습니다.
또한 아프리카티비에서는 트위치에서 아프리카티비로 이적하는 스트리머들을 위한 협력을 위해 몇가지 베네핏이 주어집니다.
트위치 계정으로 아프리카티비 로그인가능, 트위치에서 구독한 스트리머를 따라오면 아프리카티비에서도 구독을 이어갈 수 있음, 팔로잉 정보 연결, 구독+팔로우 연결 진행하면 BJ에게는 구독 선물권, 유저에게는 퀵뷰플러스 747일권 지급 트위치 스트리머 전용 #웰컴 고정 태그 적용, 트위치 연동유저에게 MY+ 우선노출 등(트위치 스트리머 이적 혜택) 다양한 혜택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전부터 두 플랫폼을 접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트위치와 아프리카티비의 방송 분위기나 개성이 다르고 트위치만의 오타쿠 감성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아프리카티비가 아닌 다른 대응 플랫폼도 눈여겨봐야 할 거 같습니다.
유튜브
유튜브에서도 실시간 방송을 통해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 유튜브의 경우 세계적으로 이용자수가 많으며 방송과 함께 유튜브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별도의 콘텐츠를 진행할 수 있으며 요즘 인기 있는 short와 함께 운영해 나간다면 큰 성장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유튜브의 경우 동영상시청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측으로는 타 플랫폼에 비해 유입이 어렵습니다. 특정한 영상으로 유입되어 해당 유튜버를 구독하고 스트리밍을 할 때 들어가지 않는 이상 따로 별도의 스트리밍별 카테고리가 자세하게 세분화되지 않을뿐더러 구독이 미리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찾아들어가기가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유튜브에서는 저작권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수익창출의 제한 사항이 많아 스트리머 입장에서도 고민해봐야 합니다.
치지직
트위치 대체 플랫폼으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치지직 입니다.
네이버가 운영하는 새로운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며 12월 19일(화) 오후 12시부터 치지직의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들 사이에서 많은 얘기가 오갔던 플랫폼인 치지직, 정식 서비스가 출시하여 지켜봐야 하겠지만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중 트위치 서비스가 종료되면 치지직에서 방송을 해보겠다, 베타 테스트에 참여하여 치지직에서 방송을 해보겠다는 등의 얘기가 많았습니다. 치지직 베타테스트 사이트를 살펴보면 가장 좋은 점은 기존 트위치 UI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점과 유명한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현재 베타테스트로 방송을 하고 있어서 즐겨보던 스트리머와 함께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적한다면 제2의 트위치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일부 의견으로는 작명이 구리다. 국내 서비스인 만큼 제재가 심할 것이다. 등의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ick(킥)
호주의 인터넷 방송 플랫폼인 kick, 아직까지는 국내에 많은 스트리머들이 있지는 않지만 킥에서는 FHD 스트리밍, 다시 보기, 클립기능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광고가 없어서 시청에 불편함이 없습니다. 또한 킥 자체 후원을 통해 영상, 음성 후원까지 가능합니다. 타 플랫폼이나 트위치에서 정지를 당했거나 새로 인터넷 방송을 시작하려는 스트리머들이 많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현재 방송되고 있는 국내 스트리머들의 방송을 보면 수위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며 가장 중요한 점은 앞으로 국내 스트리머들이 얼마나 유입이 되고 어떤 카테고리의 방송들이 늘어날 것인지에 따라서 국내 이용자들이 갈릴 거 같습니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 킥도 치지직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트위치와 UI가 매우 유사합니다.
스트리머 이적 현황 공유 서비스
기존에 방송을 하고 있는 스트리머들이 이적을 함에 따라 시청자들은 어느 플랫폼으로 이동할지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각각의 팔로우 중인 모든 채널의 생방송을 챙겨보면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하여 스트리머들의 이적 현황에 대해 공유하는 서비스가 출시하였습니다.
나의 스트리머 이적플랫폼 확인하기
Sterri에서 서비스 중인 '어디가?'라는 서비스는 내가 팔로우하는 스트리머들이 어떤 플랫폼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디가 홈페이지)
웹사이트 접속 후 '트위치로 계속하기'를 클릭하면 본인의 트위치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권한 부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권한 부여 후에 페이지가 새로고침 되었을 때 팔로우 중인 스트리머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팔로우 정보 불러오기'버튼을 클릭하여 다시 한번 '권한 부여'버튼을 눌러주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적 플랫폼 정보
내가 팔로우 중인 스트리머들의 목록에서 플랫폼 이적이 확정된 스트리머의 경우 이적 플랫폼 옆에 확정이라는 마크가 붙게 됩니다.
또한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이적이 유력한 플랫폼의 경우 플랫폼 옆에 추정 마크가 붙게 됩니다.
아직 이적플랫폼을 정하지 않아 미 확실한 경우에는 미정 마크로 표시됩니다.
스트리머 이적 정보 제보
해당 서비스는 스트리머 본인이 이적 상황을 작성하거나 사람들의 제보로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제공해 줘야 각 스트리머들의 이적 현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스트리머 이적 소식 제보하기)
현재 이적 플랫폼 순위 통계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모든 이적 플랫폼은 아니지만 현재 여러 플랫폼 중에서 치지직으로 이적을 하겠다는 스트리머들이 타 플랫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해당 플랫폼을 클릭하면 이적을 밝힌 스트리머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